전체 글26 디젤기관의 연소 과정과 디젤 노크 디젤기관의 연소과정 디젤기관에서 압축 행정 후 공기 온도는 400 ~ 700℃에 이르므로 이와 같은 고온의 공기 중에 연료를 분사하면 곧 착화되어 연소하게 된다. 디젤기관의 연소 과정은 다음 네 가지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착화지연 기간 연료가 분사되는 시점부터 연소가 시작되는 점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은 분사된 연료가 압축된 공기에 의하여 착화온도까지 가열되는 기간이다. 이 기간이 길어지면 착화하기 전에 분사되는 연료량이 많아지고 축적된 연료가 착화와 동시에 일시에 연소하게 되어 디젤노크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 기간을 짧을수록 좋다. 연료의 착화성이 우수하고 공기의 압축압력 및 온도가 높으며 분사된 연료 입자가 미세할수록 착화지연 기간이 짧아진다. 급격연소 기간(폭발연소 기간) 착화가 일어나고.. 2023. 1. 29. 가솔린기관의 노킹 및 방지법 가솔린기관의 노킹 가솔린기관에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가 불꽃 점화에 의해 연소를 시작하면 점화부로부터 화염이 전파되어 연료 전부가 연소하게 된다. 그러나 실린더 안의 과열에 의해 발생한 고온 부분이 점화원이 되어 조기 점화를 일으키거나, 압축된 미연소가 가스의 자연 발화 등이 발생하면, 혼합기가 순간적으로 급격하게 연소되어 고온·고압의 충격파가 발생한다. 이때 급격한 가스 진동 및 실린더를 쇠망치로 두드리는 것 같은 현상이 나타나면서 운전 부조화와 기관의 출력 저하현상이 일어난다. 또 심한 경우에는 피스톤이나 밸브 등이 타서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이상 연소 현상을 노크(knock) 또는 노킹(knocking)이라 한다. 노크 발생 원인 1) 흡기온도가 높다. 2) 유효압력이 높다. 3) 화염.. 2023. 1. 29. 사이클의 종류(스털링&에릭슨&브레이튼 사이클) 온도 TH인 고온열원과 TL인 저온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열기관 중 가장 효율이 높은 기관은 카르노 사이클이다. 스털링 사이클(Stirling cycle)과 에릭슨 사이클(Ericsson cycle)은 카르노 사이클과 같이 TH에서 등온가열과정과 TL에서 등온방열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두 사이클이 카르노 사이클과 다른 점은 카르노 사이클의 등엔트로피 과정이 스털링 사이클에서는 정적과정으로 대체되고, 에릭슨 사이클에서는 정압과정으로 대체된다는 점이다. 두 사이클의 정적과정과 정압과정에서는 재생(regeneration)을 이용한다. 재생은 사이클의 일부 기간 동안 작동유체로부터 열에너지 저장기(재생기, regenerator)로 열이 전달되고, 또 다른 일부 기간 동안 그 저장 장치에서 작동유체로 열을 되돌려.. 2023. 1. 29. 사이클의 종류(디젤&사바테 사이클) 디젤 사이클 [1] 디젤 사이클 : 디젤(Diesel) 기관은 가솔린기관과 달리 처음에 공기만을 실린더 속에 흡입하여 이것을 높은 압축비로써 단열 압축한다. 이 압축된 공기에 연료를 분사하면 압축된 공기는 고온이므로 자연 발화하여 연료가 연소된다. 즉, 공기의 압축열만으로 연료의 착화온도에 이르게 하므로 폭발에 의한 압력 상승을 피하기 위하여 연료 공급을 적절히 조절하여 일정한 압력 하에서 연소를 하게 한다. 공기 표준 디젤 사이클(Diesel cycle)은 압축 점화 내연기관의 이상적인 사이클로서 2개의 단열과정과 1개의 정압과정 및 1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1 → 2 : [가역단열 압축] 등엔트로피 압축. 압축비 V1 / V2로 압축한다. 2 → 3 : [정압 가열]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로.. 2023. 1. 29. 이전 1 2 3 4 5 6 7 다음